사회문화적 차이, 식생활의 차이, 개인간의 차이가 심하여 객관적인 정의를 내리기는 어렵지만 배변의 횟수가 정상적인 경우보다
적거나 변이 딱딱하게 굳어져 배변시 힘들고 고통스러운 경우를 말합니다.
일반적으로 변비란,
1주일에 2회 이하의 배변, 배변의 양이 35g이하, 배변의 25%에서 매우 힘이
들 경우(straining), 배변의 25%이상에서 딱딱한 대변을 보는 경우, 배변의 25%에서 뒤가 묵직한 경우 중
2가지 이상의 증상이 있으며 그 기간이 3개월 이상 계속되어야 변비라고 할 수 있습니다. (Rome criteria)
| 변비의 원인 |
첫째, 변비의 가장 많은 원인은 잘못된 식생활입니다. 충분한 양의 섬유질을 섭취하지 못하고, 무분별한 다이어트로
식사를 적게 하고, 물을 적게 먹고, 변비를 일으키는 음식을 섭취할 경우 등입니다.
둘째, 운동이 부족하거나, 변이 마려울 때 참아버리는 횟수가 잦거나,
스트레스를 많이 받는 직업환경에서 일을 하거나, 여행이나 입원등의 환경 변화에 의해서도 발생합니다.
셋째, 변비는 대장에 양성 혹은 악성종양, 장폐쇄나 염증에 의해
장이 막히거나 운동이 원활하지 못할 때, 항문폐쇄증후군, 대장의 신경이나 근육의 이상을 초래하는 질환 등 대장이나
소장의 이상으로 올 수 있습니다.
기타 뇌종양이나 파킨슨씨 병, 뇌손상, 척추손상, 디스크 등의 신경계이상이나 우울증 등의 정신과적 질환이 있어도
발생할 수 있으며, 호르몬이나 대사장애, 약물복용이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그러나 대부분 잘못된 식생활 습관, 장관의 기능적 또는 기질적 이상으로 발생합니다.
| 변비의 예방 |
변비에는 식사가 가장 중요합니다. 임산부는 변비가 생기기 쉬우므로 충분한 수분을 섭취하도록 합니다. 변비에 잘 걸리는
사람은 호밀 빵, 사과, 셀러리 같은 섬유소가 많은 음식을 먹도록 합니다.
매일 규칙적인 운동도 변비 예방에 도움이 됩니다.
특별한 운동을 따로 시간을 내서 하라는 것이 아니라 일상 생활에서 걷는 시간을 만드십시오.
가까운 곳은 걸어서 다니고, 버스나 전철을 이용할 경우 한 정거장 미리 내려 걸어가는 방법도 좋습니다.
* 0~1세 까지
1. 분유 탈 때 물의 양을 늘인다. 모유 수유를 줄이고 물을 많이 줍니다.
2. 수유시 마다 15~100cc 정도의 주스를 줍니다.
* 2~12세 까지
1. 배변을 위해 규칙적이고 편안한 시간을 조정해 줍니다.
2. 과일, 채소, 수분 섭취를 늘여 줍니다.
3. 아침에 물을 많이 마십니다.
4. 가능하면 변비약은 피하도록 합니다. 자주 사용하면 의존하게 되며 특히 복통이 있을 때는 변비약을 사용해서는 안됩니다.
* 어른인 경우
1. 대변 보는 시간을 방해 받지 않도록 합니다. 이때 신문, 잡지 등을 읽지 않습니다.
2. 주스나 과일을 많이 섭취 합니다.
3. 2~4잔의 물을 매일 아침 마십니다.
4. 되도록 변비약 복용을 피하고, 규칙적으로 복용하지 마십시오. 꼭 필요하면 변을 부드럽게 하는 정도의 약을 씁니다.
미네랄 오일은 비타민 흡수를 방해하므로 삼가십시오.
* 전문가와 상의
1. 위의 방법에도 아이인 경우 3일 이상, 어른인 경우 일주일이 지나도 변비가 계속될 때.
2. 대변에 검은 피가 섞여 있을 때. 대변이 나올 때 항문이 약간 찢어져서 선혈이 약간
묻어 나올 수 있지만 이는 변비가 치료되면 없어지지만 많이 나오면 전문가와 상의합니다.
3. 변비와 대변 양상의 변화는 뚜렷한 이유 없이 계속될 수도 있습니다.
|